얼마 전 올해 첫눈이 내렸는데요. 첫눈과 함께 강추위가 다가오면서 보일러 동파에 대한 우려에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미리 보일러 동파방지 예방법을 숙지한다면 겨울철에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보일러 사용이 가능합니다.
목차
겨울철 보일러 동파방지 예방법
마무리
겨울철 보일러 동파방지 예방법
한파로 수전 온수 쪽에서 물이 안 나왔던 경험이 있었나요?
그렇다면 보일러의 급수배관, 온수배관 쪽에 동결이 발생을 의심해야 합니다.
1. 노출된 배관은 반드시 보온재로 감싸 보온해 주세요.
☞ 외부에 노출된 배관은 보온재로 감싸 주어야 안전하며, 특히 직수관, 온수관은 반드시 보온하셔야 합니다. 온수기 설치장소 온도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곳은 별도의 히터를 설치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동파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보일러의 전원이 꽂혀 있는지 확인하세요. (항상 전원연결!)
☞ 보일러의 전원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 주세요. 보일러 제품에 내장되어 있는 동파방지장치는 전기에 의해 작동됩니다. 혹한기에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 자동으로 순환펌프가 가동되어 동파로 인한 피해를 막아줍니다. 즉, 전원 코드를 연결해 놓아야만 '자동 동결 방지' 기능이 동작합니다.
3. 겨울철 장시간 집을 비워 난방을 하지 않을 때도 각방밸브와 가스중간밸브를 잠그지 마세요.
☞ 겨울철 2~3일 정도 외출로 집을 비울 때에도 가스밸브를 잠그지 마세요. 난방배관, 직·온수배관, 가스배관 및 분배기의 밸브를 모두 개방합니다.
4. 혹한기에는 온수 수도꼭지를 조금만 열어 물을 흘려주세요.
☞ 수도꼭지를 조금만 연 상태에서 온수 쪽으로 완전히 돌려 물이 졸졸 흐르게 해 주세요. 수도꼭지를 너무 많이 열면 보일러가 가동될 수 있으니, 조금만 열어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장시간 외출이나 자기 전, 약하게 '온수'를 틀어 놓습니다.
5. 겨울철 직수관 동결 시 응급조치 방법
☞ 겨울철 온수가 전혀 나오지 않을 때는 직수관이 동결된 것입니다. 배관 보온재를 제거 하고 직수관 또는 온수 출구관을 드라이기나 전열기를 이용해 녹여주세요. 자동물보충이 되지 않아 실내온도조절기에 물보충 이상 에러가 표시가 있더라도 드라이기나 전열기를 이용하여 직수관을 녹여주세요. 그래도 온수가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보일러 대리점이나 서비스센터로 연락해 주세요.
6. 장시간 외출 시 보일러를 '외출모드'로 설정 해주세요.
7. 장기간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관 내 물을 모두 빼 주세요.
8. 수도 계량기 밀봉 하기.
☞ 수도 계랑기 내부에는 '동파방지 팩'이나 보온이 가능한 '헌 옷, 수건'등을 넣습니다. 그리고 수도 계량기 외부를 테이프, 비닐 등으로 틈새를 막아 찬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줍니다.
9. 응축수 트랩호스 정리 하기.
☞ 콘덴싱 보일러의 경우 응축수 배출 호스가 동결되지 않도록 정리합니다.
마무리
위의 9가지 보일러 동파방지 예방 조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귀찮더라도 미리 예방 조치를 한다면 보일러 동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추운 겨울철에는 생각 외로 한파로 인한 보일러 배관이 동결되거나 동파되는 사고가 많이 발생합니다. 보일러 배관이 동파되어 온수가 나오지 않아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겨울철 보일러 동파 예방에 꼼꼼하고 철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